월급 300만 원, 어떻게 자산관리 시작해야 할까?
사회초년생, 자취 시작한 직장인에게 가장 흔한 고민.
“월급은 받았는데, 왜 또 통장이 텅장이지?”
💡 오늘은 세후 월급 300만 원 기준으로, 현실적인 자산관리 루틴을 어떻게 세팅해야 하는지 실제 사례 기반으로 풀어드립니다.
✔️ 요약 먼저 보기
- 📌 300만 원은 금액보다 구조가 중요
- 📌 소비패턴 파악 → 고정비 정리 → 자동 저축 순
- 📌 통장은 최소 4개로 분리 필요
- 📌 월급 루틴은 ‘자동화’가 핵심
1️⃣ 300만 원, 어떻게 나누는 게 좋을까?
먼저 세후 월급 300만 원 기준으로 현실적인 지출 구조를 계산해봅니다.
항목 | 비중 | 예산 |
---|---|---|
고정비 (월세, 통신비, 구독 등) | 40% | 120만원 |
변동 생활비 (식비, 교통비 등) | 30% | 90만원 |
저축 및 투자 | 20% | 60만원 |
자유자금 (여가, 비상금 등) | 10% | 30만원 |
📌 핵심은 “남은 돈을 저축”하는 것이 아니라 “먼저 저축하고 남은 돈을 쓰는 구조”를 만드는 것입니다.
2️⃣ 통장 구조가 자산관리의 시작
돈이 모이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수입과 지출의 흐름이 뒤섞여 있기 때문입니다.
💳 필수 통장 4개 구성
- ① 수입 통장: 월급 받는 계좌
- ② 지출 통장: 고정비·생활비 자동이체
- ③ 저축 통장: 자동이체(비상금, 목표저축)
- ④ 투자 통장: CMA or 증권 계좌 (ETF 등)
💡 계좌를 분리해두면, 한눈에 “이번 달 지출 가능한 돈이 얼마인지” 확인할 수 있습니다.
3️⃣ 자동이체 세팅 = 가장 쉬운 돈 모으는 법
월급날 기준으로 자동이체 루틴을 만들어두면 돈이 스스로 관리되기 시작합니다.
💰 자동화 루틴 예시
- 📅 매월 25일: 월급 입금 → 1일 뒤 자동 분배
- 💸 저축: 20만 원 → 비상금 통장
- 📈 투자: 20만 원 → 증권사 ETF 계좌
- 🏦 생활비: 90만 원 → 체크카드 연결 통장
👉 월급날 자동 분배를 해두면, 매달 ‘뭐부터 해야 하지?’라는 스트레스가 사라집니다.
4️⃣ 고정비부터 점검하자
많은 분들이 소소한 절약에 집중하지만, 실제 효과가 큰 건 고정비 조정입니다.
- 📶 통신비 → 알뜰폰 전환: 월 3만 원 ↓
- 🎬 OTT 구독 → 1개로 줄이기
- 💳 보험료 → 불필요한 특약 제거
💡 매달 10만 원씩만 줄여도 연간 120만 원이 ‘무지출’로 확보됩니다.
5️⃣ 자산관리 앱 활용하기
요즘은 가계부를 쓰지 않아도 자동으로 지출 내역을 정리해주는 앱들이 많습니다.
📱 추천 앱
- 브로콜리: 주간 지출 리포트, 자동 분류
- 뱅크샐러드: 자산 전체 시각화 + 카드/대출 관리
👉 자동화 도구를 활용하면, ‘노력 없는 돈관리’가 가능해집니다.
📌 마무리 정리
월급 300만 원, 적지 않지만 계획 없이 쓰면 한 달도 모자랍니다.
중요한 건 금액이 아니라 구조!
💡 수입 → 저축 → 지출 순으로 루틴을 바꾸세요.
오늘 계좌부터 나눠보세요. 자동이체 한 줄로도 삶이 바뀌기 시작합니다.
📥 다음 글 예고:
👉 월급날 자동저축 루틴 세팅법 (카카오뱅크 & CMA 활용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