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기준 총정리 (나이·소득·가구원별)
2025년 정부가 시행 중인 민생회복지원금은 1차와 2차로 나눠 지급되며, 대상자의 나이, 소득 수준, 가구원 수에 따라 최대 수령 금액이 달라집니다.
이 글에서는 본인이 받을 수 있는 금액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각 기준별로 총정리해드립니다.
1. 지급 시기 및 구조
- 📆 1차 지급: 2025년 6월 말~7월 초
- 📆 2차 지급: 2025년 9월 중 예정
- 💰 총 최대 지원금: 1인 최대 40만 원까지
- 📌 기본 지원은 소득 하위 70% 가구 우선
2. 연령별 기준 (1인당 기본 지급액)
연령대 | 1차 지급 | 2차 지급 | 총합 |
---|---|---|---|
만 19세 이상~64세 | 10만 원 | 10만 원 | 20만 원 |
만 65세 이상 | 15만 원 | 15만 원 | 30만 원 |
만 18세 이하 | 5만 원 | 5만 원 | 10만 원 |
📌 65세 이상 고령자는 추가 생활 안정 차원에서 더 많이 지급됩니다.
3. 소득 기준별 지급 대상 요약
- ✅ 소득 하위 70% 이하 가구: 전원 기본 지급 대상
- ❗ 중산층~고소득층(상위 30%): 원칙적 미지급, 단 특수사유 시 일부 예외
- 📎 기준은 국세청 소득금액증명원 + 건강보험료 납부액 기준
예시: 1인 가구 기준 월 소득 250만 원 이하는 지급 대상 포함
4. 가구원 수별 최대 수령 가능 금액
가구 인원 | 성인 구성 예시 | 1차 지급 | 2차 지급 | 총액 |
---|---|---|---|---|
1인 가구 | 30세 직장인 (만 30세) | 10만 원 | 10만 원 | 20만 원 |
2인 가구 | 부부(30대 + 60대) | 10만 + 15만 = 25만 원 | 10만 + 15만 = 25만 원 | 50만 원 |
3인 가구 | 40대 부부 + 고등학생 자녀 | 10+10+5 = 25만 원 | 10+10+5 = 25만 원 | 50만 원 |
4인 가구 | 60대 부모 + 성인 자녀 2명 | 15+15+10+10 = 50만 원 | 동일 | 총 100만 원 |
📌 **가구원 수가 많고, 고령자 포함 비율이 높을수록** 수령금액은 커집니다.
5. 지역별 추가 지원금 여부
일부 지자체는 **정부 지원금 외에 자체 지원금**을 함께 지급합니다.
- 📍 서울시: 서울형 긴급생활지원금(최대 30만 원)
- 📍 경기도: 지역화폐로 최대 10% 추가 지급
- 📍 부산시: 1인당 5만 원 추가 지역상품권 지급
💡 지역별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하며, 중복 수령이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.
결론: 본인 조건에 따라 최대 40만 원+α 가능
2025 민생회복지원금은 **정확한 기준 확인 후 신청**하면 본인의 나이, 소득, 가구구성에 따라 최대 40만 원 이상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특히 65세 이상 고령자 + 소득 하위 가구는 우선 순위 대상이며, 지역화폐 방식 수령 시 추가 인센티브도 함께 챙겨보세요.
💡 꼭 대상 여부 조회 후 신청 기간 내 접수하시길 권장드립니다.